Github를 이용해서 블로그처럼 간단하게 한번 만들어 볼까 하며 찾아보다가
DB를 쓸 수 없다는 게 좀 안타까워서 알아보던 중
Google의 Firebase라는 서비스를 알게 되었다.
기본적으로 무료로 시작할 수 있고, DB도 제공해 주고, 대용량 파일 저장소도, Analitics 기능도 있고..
이것저것 지원해 주니까 좋아 보인다. 한번 사용해 봐도 좋을 듯 싶다.
자세한 것은 차차 알아봐야겠다.
대략적으로는 http://cocomo.tistory.com/487 이 글을 참고해서 알아보았다.
개발환경
- nodejs npm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- nodejs express 사용
시작
1. Firebase 접속해서 프로젝트 추가
- 프로젝트 이름 짓고 나라 설정
2. Firebase CLI 설치
- 이걸 설치해야 터미널(cmd)에서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.
- npm install -g firebase-tools 를 입력해 설치해 준다.
3. Firebase project 생성
1) 터미널(windows에서는 cmd)을 열고 원하는 폴더 생성한 후, 그 폴더로 이동한다.
2) firebase init을 한다.
- 호스팅 성향 3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, 모두 선택할 수도 있다.
- 어떤 프로젝트에 할당할 것인지를 묻는데, 1에서 생성한 프로젝트를 선택한다. (혹은 그냥 추가할 수도 있다.)
- 완료하면 firebase.json 파일과 public 폴더 등이 생성된다. function을 선택했을 시에는 functions 폴더가 추가로 생성된다.
functions 폴더에서는 nodejs 서버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.
4. nodejs 서버 코드 작성과 firebase.json 파일 수정
- npm install express --save 명령으로 express 설치
- 위 사진처럼 코드 작성 후 exports.app으로 'app'이라는 이름 등록
- firebase.json에서 'rewrites' 옵션 등록.
function 항목에는 exports에 등록된 function 이름을 작성해 줌. 위의 그림에서는 'app' 이라는 이름.
5. 터미널에서 firebase deploy 입력하면 호스팅 완료.
요렇게 등록이 완료됨.
이제 teraphonia.firebaseapp.com/timestamp 로 접속해 보면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다.
호스팅 완료!
이제 이것저것 해보면서 꾸며 봐야겠다. ㅎㅎㅎ
'Fire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irebase] CORS(Cross-Origin Resource Sharing) and Firebase (1) | 2017.11.08 |
---|---|
[Firebase][Solved] Session not persisting on firebase web hosting (0) | 2017.10.29 |